반복영역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서비스R&D(헬스케어 서비스)

헬스케어 서비스

워드 클라우드

1. 기술로드맵


가. (전략품목) 데이터 분석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 (총론) 기술 이슈에 대응하는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서비스 등을 위한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구축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1) 빅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을 위한 ‘AI 기반 건강 정보 분석 기술, ‘질병 상태 예측·분석 기술’, ‘맞춤형 건강 정보·활동 추천 서비스 기술’ 개발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2) 플랫폼 서비스 기술 개발을 위한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구축 기술 개발



[ 「데이터 분석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기술」 기술개발 로드맵 ]


나. (전략품목)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 활용 운동 지원 서비스


□ (총론) 기술 이슈에 대응하는 측정, 분석 센서 기술 등을 위한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구축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1) 측정 기술 개발을 위한 ‘웨어러블 생체신호 측정 기술’ 개발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2) 분석 기술 개발을 위한 ‘의복 내장형 생체 정보 모니터링 기술’ 개발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3) 센서 기술 개발을 위한 ‘패치형 디바이스 센싱 기술’ 개발



[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 활용 운동 지원 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


다. (전략품목) 원격 모니터링 활용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 (총론) 기술 이슈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집·분석 기술,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 등을 위한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구축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1) 데이터 수집·분석 기술 개발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활용 의료데이터 수집 기술’,‘의료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2)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 개발을 위한 ‘임상 시험 대상 원격 모니터링 기술’ 개발



[ 「원격 모니터링 활용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


라. (전략품목) AI 맞춤형 환자·고령자 돌봄 플랫폼


□ (총론) 기술 이슈에 대응하는 플랫폼 서비스, AI 기술 등을 위한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구축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1) 플랫폼 서비스 기술 개발을 위한 ‘디지털 기반 돌봄 서비스 플랫폼 구축 기술’ 개발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2) AI 기술 개발을 위한 ‘돌봄 서비스 패턴 분석 추천 알고리즘 기술’, ‘간병인 매칭 구축 기술’ 개발



[ 「AI 맞춤형 환자·고령자 돌봄 플랫폼」 기술개발 로드맵 ]



마. (전략품목)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 (총론) 기술 이슈에 대응하는 매칭 시스템 구축 기술, 알고리즘 기술 등을 위한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구축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1) 매칭 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을 위한 ‘보험 수급자·요양보호사 매칭 구축 기술’, ‘결제·정산 시스템 구축 기술’ 개발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2) 알고리즘 기술 개발을 위한 ‘요양보호사 자동 추천 알고리즘 기술’ 개발



[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기술개발 로드맵 ]


바. (전략품목)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


□ (총론) 기술 이슈에 대응하는 스캐닝 기술, 시뮬레이션 기술, 플랫폼 서비스 기술 등을 위한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구축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1) 스캐닝 기술 개발을 위한 신체 형상 3차원 스캐닝·표현 기술개발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2)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을 위한 체성분 변화 감지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기술 , ‘성형 수술 전후 신체 형상 시뮬레이션 기술’개발

○ (중소기업 기술개발전략 3) 플랫폼 서비스 기술 개발을 위한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 플랫폼 구축 기술’개발



[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


2.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헬스케어 서비스란 유전체, 임상, 라이프로그 등 개인 정보에 근거하여 건강을리하고 질병을 예측, 예방, 관리하는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 개인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로 이를 개발하고 전달하는 기술기반 구조를 포함하며 빅데이터에 근거한 콘텐츠에 AI 기술을 접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및 전달 체계 분야를 중심으로 구성

- (디지털 헬스케어) 정보통신기술(ICT)이 건강과 의료분야에 접목되어 활용되는 형태로 정의되며 기술의 진화와 함께 시기별로 Health IT, e-Health 등의 용어로 다르게 사용됨


[ 디지털 헬스케어 정의 ]

구분

출처

정의

국외

WHO

(2020)

∙ 디지털 헬스는 건강분야에 ICT를 사용하는 eHealth 용어에 그 기원을 두고, eHealth(mHealth 포함)분야를 비롯한 빅데이터, 유전체학,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컴퓨터과학 분야를 포함함

※ mHealth는 eHealth의 일부이며, 건강을 위해 무선 모바일기술을 사용하는 것임

Canada Health

Infoway(2020)

∙ 의료서비스의 제공과 건강 증진을 위해 활용하는 정보기술/ 전자통신도구, 서비스 및 과정

국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8)

∙ 광의의 개념 : ICT기술이 적용된 모든 헬스케어 분야

∙ 협의의 개념 : 모바일 헬스케어, 원격의료, 인공지능 등이 포함되는 헬스케어 분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

평가원(2020)

∙ 의료와 ICT융합을 디지털 헬스케어로 부르고, 의료 질향상과 의료비 절감을 위해 의료와 ICT가 융합해 개인의 건강과 질병을 관리하는 산업・기술로 정의함.

∙ 디지털 헬스는 e헬스, u헬스, 모바일 헬스케어, 스마트 헬스케어 등을 모두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

* 출처 : 디지털 헬스 산업 분석 및 전망 연구_한국보건산업진흥원(‘20.12)

(2) 기술개발 필요성


□ 헬스케어 산업은 치료공급자 중심의 의료서비스에서 예방의학·웰빙 중심의 의료서비스로 초점이 변화하고 있는 시점

○ 정보기술 및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제고됨에 따라 글로벌 헬스케어 패러다임이 빅데이터(Big data)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웨어러블 기기 등에 집중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으로 전환

○ 인공지능 기술과 의료분야를 융합한 디지털 헬스케어로의 전환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으로 보임


스스로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 가상·증강현실(VR·AR)을 접목한 헬스케어 제품의 출시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와 같은 지능정보기술의 발전은 전통 의료·헬스케어 산업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추동

○ 고령화와 의료비 증가, 의료인력 부족 등이 사회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선진국을 중심으로 헬스케어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추세로 고령화 시대에 헬스케어 효율화가 각국의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음

○ 실시간 건강상태 확인, 원격의료 및 로봇을 이용한 원격 수술, 클라우드 기반의 의료 시스템 등의 기술 개발 가속화


해외 주요 선진국은 이미 디지털 헬스케어 진흥을 위한 각종 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헬스케어 혁신 생태계 지원하기 위한 기반 강화

○ 디지털 헬스케어 진흥을 위해 21세기 치료법(미국), 차세대의료기반법(일본), 디지털헬스케어육성법(독일) 등 법·제도를 정비

○ 우리 정부에서도 디지털 헬스케어를 국정과제 전면에 내세우고 디지털 기반 미래의료 실현, 디지털 헬스케어 신시장 창출, 빅데이터 기반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등 3대 정책 방향을 적극적으로 추진


나. 범위 및 분류


(1) 가치사슬


□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의 후방산업은 솔루션 개발이며, 전방산업은 의료 관리 서비스, 질병 관리서비스와 같은 의료 서비스 산업으로 가치사슬 구성

○ (후방산업) 빅데이터, 인공지능 플랫폼 서비스, 솔루션 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 분석, 클라우드 컴퓨팅, 웨어러블 장비 개발 등 장비 및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분야의 산업이 후방산업으로 작용 중

○ (전방산업) 의료 관리서비스, 질병 관리 서비스, 스마트 의료정보통합 정보 시스템, 보건의료 산업, 질병 예측/진단 치료 관련 산업 등 헬스케어 서비스가 적용되는 영역의 산업으로 구성



[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 산업구조 ]

후방산업

헬스케어 서비스

전방산업

빅데이터, 인공지능 플랫폼 서비스, 솔루션 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 분석, 클라우드 컴퓨팅, 웨어러블 장비 개발 등

데이터 분석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 활용 운동 지원 서비스, 원격 모니터링 활용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AI 맞춤형 환자·고령자 돌봄 플랫폼,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등

의료 관리서비스, 질병 관리 서비스, 스마트 의료정보통합 정보 시스템, 보건의료 산업, 질병 예측/진단 치료 관련 산업


(2) 분류 체계


□ 산업연구원은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의 제품 및 서비스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로 분류

○ (하드웨어) 개인건강관리기기와 웨어러블 기기, 부품

○ (소프트웨어) 건강정보 제공 앱, 맞춤형 건강관리 앱, 의료정보관리 플랫폼/DB

○ (서비스) 진단서비스, 건강관리서비스, 원격의료서비스로 세분화


[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 ]

분류

상세분류

설명

관련 제품 및 용도

하드

웨어

서비스

일체형,

단품 형태

제품

(개인건강관리기기) 건강관리를 위해 건강 생체신호를 측정 하는 (의료)기기,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 이 필요한 기기

(웨어러블 기기) 건강증진・개선을 위해 신체에 착용되어 생체신호 측정과 모니터링을 하는 기기

게이트웨이

혈당, 혈압, 심전도, 활동량 측정

요화학(소변) 분석

헤모글로빈 측정

체성분/체지방 측정

의료용 센서 삽입 스마트기기

현장검사 기기(POCT)

밴드/목걸이형, 부착(패치)형, 인체 삽입형

부품

부품, 장치, 시약

시약, 바이오센서

저장 및 디스플레이 장치

통신 장치

소프트웨어

의료・건강

관리

콘텐츠

(건강정보 제공 App) 일반적 의학정보, 운동정보, 영양정보 등 건강정보 제공

(맞춤형 건강관리 App) 개인 건강정보를 수집하여 맞춤형 건강 관리 제공

웰니스(휴식방법, 요가, 뷰티팁 등) App

영양관리 및 정보 제공 App

의학적 정보(약품, 질병, 복약 등) 제공 App

개인 건강기록(PHR) App

병원기록 관리 App

피트니스 또는 운동 관리 App

미들웨어,

플랫폼,

통신

네트워크

(의료정보관리 플랫폼/DB) 의료기관 의료정보 통합 저장/관리 시스템

(개인건강정보관리 플랫폼/DB) 건강・의료정보 통합 저장, 관리

의료정보관리 플랫폼(EMR, EHR)

개인건강정보관리 플랫폼

기타

서비스

진단

서비스

(진단서비스) 유전자, 의료진단 서비스

체외진단 서비스

유전자/유전체 분석 서비스

건강관리

서비스

(건강관리서비스) 하드웨어 기기의 건강정보 및 의료정보 분석, 건강관리 서비스

(원격의료서비스) 원격으로 행해지는 의료서비스 및 진단

개인건강검진 관리 서비스

개인건강기록(PHR)관리 및 맞춤형 서비스

노인건강관리 서비스

건강관리 포털 서비스

원격상담, 원격모니터링 서비스

* 출처 : 자료명칭_발행기관(발행년도. 월)

3. 환경 분석


가. 시장 현황 및 전망


(1) 개황


□ 헬스케어 서비스는 COVID-19로 인한 비대면 경제확산,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자 비중 증가 등의 사회적 변화로 필수 산업으로 자리 매김

○ COVID-19 이후 유망 신산업 1위가 헬스케어(31.9%)로 조사되며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본인의 건강 인지에 따른 생활 습관을 파악하기 위한 특정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 기술, 의료비 지출을 줄이기 위한 개인 건강 관리 플랫폼 등이 출현


□ 글로벌 디지털헬스 산업은 대형 IT 기업 플랫폼과 스타트업의 결합으로 지속적으로 성장

○ 스타트업들의 투자유치 확대, VC 투자 확대, 대기업 진출 등으로 디지털헬스 케어 분야 투자가 본격화 추세

○ 의료, 건강서비스 분야*의 세계 시장 규모는 세계 총 GDP의 약 10%에 달하며, 특히 테크 기업의 주요 진출 영역인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급성장 중

*질병의 진단, 치료, 처방 등의 의료 분야와 디지털 헬스케어 등을 포함한 건강서비스 분야 등



□ 우리나라 경제 수준 향상 및 스마트 기기 대중화에 따른 수요 촉진, 의료 비용 증가 등은 헬스케어 서비스의 수요를 촉진

○ ICT 기술이 다양한 의료 정보와 연계됨에 따라 의료체계의 패러다임이 모바일 생태계로 전환되며 관련한 서비스 시장이 활발히 확대될 전망


(2)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18.8%로 증가하며 21년 약 1,822억 달러에서 27년 5,213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디지털 전환과 의료서비스 제공 모델 융합 등은 전 세계 헬스케어 시장 성장을 촉진함

향후 65세 이상 노년층의 비중은 현재 보다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헬스케어 시장의 성장은 지속적 성장할 것으로 전망

- 2050년경에는 OECD 36개국을 기준으로 살펴보았을 때,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의 노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평균 27.1%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헬스케어 서비스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십억 달러,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세계 시장

182.23

216.50

257.20

305.55

363.00

431.24

521.31

18.8


* 출처 : Digital Health - Global Strategic Business Report_Global Industry Analysts, Inc('23.11)

○ (전략품목 1) ‘데이터 분석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28.4%로 증가하며 ’21년 약 10억 달러에서 ’27년 44.8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데이터 분석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십억 달러,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세계 시장

1,001.79

1,286.30

1,651.60

2,120.66

2,722.93

3,496.24

4,489.18

28.4


* 출처 : Artificial Intelligence in Precision Medicine Market Size_Pragmamarketresearch('23.09)

○ (전략품목 2)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7.3%로 증가하며 21년 약 898.4억 달러에서 27년 1,372.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십억 달러,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세계 시장

128.45

144.90

163.45

184.30

207.97

234.59

264.61

12.8


* 출처 : Smart Healthcare Market Size,2023-2030_Grand view research(‘22)

○ (전략품목 3)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 활용 운동 지원 서비스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25.7%로 증가하며 21년 약 213.2억 달러에서 27년 843.8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 활용 운동 지원 서비스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십억 달러,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세계 시장

21.32

26.80

33.80

42.48

53.41

67.13

84.38

25.7


* 출처 : Wearable medical device market size, 2023-2030, Grand view research(‘22)

○ (전략품목 4) 원격 모니터링 활용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18.5%로 증가하며 21년 약 37억 달러에서 27년 103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원격 모니터링 활용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십억 달러,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세계 시장

3.71

4.40

5.20

6.20

7.30

8.70

10.30

18.5


* 출처 : Remote Patient Monitoring System Market Size,2023-2030_Grand View Research(‘23)

○ (전략품목 5) ‘AI 맞춤형 환자·고령자 돌봄 플랫폼’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37.0%로 증가하며 21년 약 116억 달러에서 ’27년 726.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AI 맞춤형 환자·고령자 돌봄 플랫폼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십억 달러,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세계 시장

11.60

15.10

20.65

28.24

38.66

52.97

72.62

37.0


* 출처 :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care market, 2022-2030_precedence research(‘22)

○ (전략품목 6)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18.0%로 증가하며 21년 약 599.6억 달러에서 27년 1,617.4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십억 달러,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세계 시장

59.96

70.70

83.43

98.44

116.16

137.07

161.74

18.0


* 출처 : MHealth Market Research, Global Opportunity Analysis and Industry Forecast, 2023-2032_Allied Market Research_('23.07)

② 국내 시장


□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16.4%로 증가하며 21년 약 2조 9,800억 원에서 27년 7조 4,13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전통 의료 서비스에서 더 나아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

- AI, 빅데이터, 메타버스 등 ICT 기술이 헬스케어와 결합하며 새로운 건강관리 서비스 및 제품 출시 가속화

- 기술력을 인정받은 국내 스타트업들의 투자유치가 확대되는 추세이며 국내 ICT 기업, 대기업 등에서도 헬스케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

늘어나는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신의료기술 의료기기 보수적 규제, 원격 의료 제한 등이 시장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남



[ 헬스케어 서비스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조 원,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국내 시장

2.980

3.469

4.038

4.700

5.466

6.368

7.413

16.4


* 출처 :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규모_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_('20)

○ (전략품목 1) ‘데이터 분석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20.0%로 증가하며 21년 약 16억 달러에서 27년 59.9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데이터 분석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국내 시장

1,604

2,083

2,564

3,157

3,887

4,785

5,892

20.0


* 출처 : Global Healthcare Data Analytics Market: 2022 – 2030_Verified Market Research(‘23.05)

○ (전략품목 2)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13.0%로 증가하며 21년 약 8,700만 달러에서 27년 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국내 시장

87

100

115

132

152

174

201

13.0


* 출처 : Mannequin Based Simulation Market, 2021 – 2031_Business Research Insights(‘23.03)

○ (전략품목 3)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 활용 운동 지원 서비스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4.0%로 증가하며 21년 약 86.4억 달러에서 27년 116.4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 활용 운동 지원 서비스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국내 시장

8,643

9,098

9,577

10,056

10,559

11,087

11,641

4.0


* 출처 : Global Smart Wearable Fitness and Sports Devices Market 2023–2032_Coherent Market Insights(‘23.11)

○ (전략품목 4) 원격 모니터링 활용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18.0%로 증가하며 21년 약 5.91억 달러에서 27년 19.2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원격 모니터링 활용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국내 시장

591

739

924

1,110

1,333

1,601

1,922

18.0


* 출처 : Remote Patient Monitoring System Market 2023-2028_Markets And Markets(‘23.11)

○ (전략품목 5) ‘AI 맞춤형 환자·고령자 돌봄 플랫폼’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46.2%로 증가하며 21년 약 0.6억 원에서 27년 6.9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AI 맞춤형 환자·고령자 돌봄 플랫폼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억 원,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국내 시장

0.06

0.10

0.15

0.21

0.31

0.46

0.69

46.2


* 출처 : South Korea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Healthcare Market Analysis,2022-2030_insights 10_('23.06)

○ (전략품목 6)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7.0%로 증가하며 21년 약 7,500만 달러에서 27년 1.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CAGR

(’21∼’27)

국내 시장

75

82

89

96

103

112

120

7.0


* 출처 : BCube-Internal 자체조사(‘22)

나. 기술개발 동향


(1) 개황


□ COVID-19 팬데믹 이후 헬스케어 산업에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기술이 본격적으로 실용화되며 원격 의료가 급격히 확대

○ 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IT 기술의 발전은 타 분야와의 융합을 촉진하고 있으며, 특히 의료분야에 빠르고 광범위하게 접목되며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이 높아지면서 우리 사회에서 충족되지 못한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 발

○ COVID-19 유행상황에서 비대면 의료는 감염병 예방과 의료 접근성 확보를 위해 유용성이 인정되어, 미국과 호주 등 국토가 넓은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활용

○ 우리나라도 유행상황에서 의료기관과 환자의 안전을 위해 한시적으로 비대면 진료를 허용하며 COVID-19 유행기간 동안 비대면 진료를 실시한 의원급 의료기관은 2020년 9,397개소에서 2022년 22,473개소로 2배 이상 증가


□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모바일헬스 등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중 자기주도적 건강관리서비스 관련 기술 개발 추진

○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스마트․웨어러블 기기의 보급 등으로 IT와 의료 분야의 융합을 통해 스스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음

○ 기초의료 사업이 일반 국민들에게 보다 편리하게 도움될 수 있는 빅테크 활용 원격의료, 모바일 기술 등이 개발된 서비스가 출시되는 추세

-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전통적 의료기업이 아닌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알리바바 등 IT기업이 주도하고 있음

- 전통 제약사들은 바이오 기술이나 신약연구, 특히 항암제 개발이라는 본업에 충실한 모습이고, 디지털 헬스케어에 직접 투자하기보다는 사업제휴 등을 선택


(2) 대표사례 분석


① 해외 기업


□ NOOM, Fitbit, Pill Pack, TDOC.K, 23ANDME, 메디컬체인, 핑안굿닥터 등이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의 대표적 기업으로 이들 기업의 기술적 성공 요인과 비기술적 성공 요인은 아래와 같음



[ 해외 기업 대표사례 ]

구분

중분류

기술적 성공 요인

비기술적 성공 요인

1

NOOM

지속적 건강관리 제공(빅데이터), AI 보조코치, 인공지능 기반 코칭 서비스

솔루션 제공자, 고객충성

2

Fitbit

단말기, IoT API, 혈중산소 모니터링

정기구독

3

Pill Pack

배송서비스, 자동화기술, 필요시점 계싼, 자동분재 포장로봇

디지털화, 오픈 비즈니스

4

TDOC.K

원격진료, 아마존 에코

오픈비즈니스, 고객충성

5

23 ANDME

유전정보 데이터, 키트서비스

물물교환, 프리미엄

6

메디컬체인

블록체인

고객정보 활용, 오픈비즈니스

7

핑안굿닥터

AI 챗봇, 자체 애플리케이션

교차 판매, 고객잠금

② 국내 기업


□ 비브로스, 스카이랩스, 닥터나우, 굿닥 등이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의 대표적 기업으로 이들 기업의 기술적 성공 요인과 비기술적 성공 요인은 아래와 같음



[ 국내 기업 대표사례 ]

구분

중분류

기술적 성공 요인

비기술적 성공 요인

1

비브로스

전자차트 연동시스템, 모바일 결제 및 발급 기능, 자동알림 서비스

디지털화

2

스카이랩스

개인 심장 모니터링(AI), 측정 데이터 전송

오픈 비즈니스

3

닥터나우

검색증강생성 기술, 비대면 진료, 약배송 서비스

고객충성

4

굿닥

Chat GPT 기반 건강 AI 서비스, 검색/예약 서비스, 맞춤 건강 서비스

고객충성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 대표 연구개발 기관


[ 대표 연구개발 기관 ]

기관

연구분야

삼성서울병원

 실사형 근거기반 다양한 유방암 생존자의 미충족 헬스케어 니즈 극복을 위해, 암치료 관련 “급성·만성 부작용 관리 및 회복이 필요한 유방암 생존자”대상으로 자가평가결과·근거기반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및 자가관리 전략을 개발

국립암센터

유전성 암 환자 및 가족과 의료진과의 공유 의사결정(shared-decision making)을 위한 맞춤형 헬스케어 기술을 개발

의사결정 지원 도구를 진료 과정에서 활용하여 치료에 대한 환자의 자기결정권(patient-empowerment)을 강화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아 재활치료를 위한 AI 머신러닝 기반의 신체-모션인식 디지털 치료 프로그램 개발

갑상선 결절/암의 감별 진단 및 관리를 위한 딥러닝 기술 기반 인공지능 보조 프로그램 개발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상용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재활 헬스케어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개발

지역활성화를 위한 국가혁신클러스터 내 공공기관 연계 네트워크 지원을 통한 홈헬스케어용 IoMT 의료기기 지원체계 구축

재활 데이터 수집/저장/처리를 위한 IoMT 플랫폼 구축


□ 주요 기술개발 동향

○ (삼성서울병원) 실사형 근거기반 다양한 유방암 생존자의 미충족 헬스케어 니즈 극복을 위해, 암치료 관련 “급성·만성 부작용 관리 및 회복이 필요한 유방암 생존자”대상으로 자가평가결과·근거기반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및 자가관리 전략을 개발

- 유방암 생존자의 치료 부작용 관리 및 회복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서비스 모델 개발 및 검증

- 유방암 생존자의 치료 부작용 관리 및 회복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및 서비스 모델 개발

- 유방암 생존자의 치료 부작용 관리 및 회복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서비스 모델링 및 임상적 검증

○ (국립암센터) 유전성 암 환자 및 가족과 의료진과의 공유 의사결정(shared-decision making)을 위한 맞춤형 헬스케어 기술을 개발

- 유전성 암 환자 및 가족 유형화에 따른 맞춤형 의사결정 정보제공 알고리즘 프로토타입 설계 및 개발

- 유전성 암 내비게이터 프로토타입 설계 및 개발

- 유전성 암 환자 및 가족 유형화에 따른 맞춤형 의사결정 정보제공 알고리즘 프로토타입 고도화

- 유전성 암 내비게이터 맞춤형 컨텐츠 확대 개발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활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AI 머신러닝 기반의 자세-모션인식의 디지털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환아의 치료에 적용하여 안전성과 유용성을 탐색

-AI 머신러닝 기반의 신체부위 객체인식 모델 및 알고리즘 수립

-다양한 연령별 아동 (재활치료 중인 아동 포함, 신생아~만 18세 미만)의 영상자료를 획득하여 데이터 가공 및 기계학습을 통해 아동의 신체 (눈, 코, 입, 이마, 관절부, 손, 발)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 설계

○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상용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재활 헬스케어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개발

- 지역활성화를 위한 국가혁신클러스터 내 공공기관 연계 네트워크 지원을 통한 홈헬스케어용 IoMT 의료기기 지원체계 구축

-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홈재활 서비스 플랫폼 연동 기술개발

- 홈재활 서비스 플랫폼 고도화

- 1단계 IoMT 기반 홈케어 서비스 플랫폼 커스터마이징

-개인재활 맞춤형 헬스케어 의료기기 상용화를 위한 세미나 및 컨설팅 수행


□ (선행연구 사례) 국내 대학교 및 국립압센터,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연구기관에서는 헬스케어 서비스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선행연구 추진


[ 국내 선행연구(정부/민간) ]

수행기관

연도

연구명(과제명)

주요내용 및 성과

삼성서울병원

2023~

2025

유방암 생존자의 치료 부작용 관리 및 회복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서비스 모델 개발 및 검증

유방암 생존자의 치료 부작용 관리 및 회복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서비스 모델 개발 및 검증

유방암 생존자의 치료 부작용 관리 및 회복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및 서비스 모델 개발

국립암센터

2023~

2025

구강암생존자의 장기간 저작 및 구강기능향상을 위한 헬스케어 기술개발

구강암 치료 후 생존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장기간의 저작 및 구강기능향상을 위한 헬스케어 기술개발

구강암 환자의 기능개선을 위한 프로토콜 및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구강암 저작기능개선을 위한 기술 적용 후 기능 평가서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2022~

2025

관절 재활 평가 분석용 개인 맞춤형 전자 스티커 및 직관적 쌍방향 모바일 헬스케어 솔루션 고도화 개발 연구

커터블(Cuttable) 디자인, 직관적 피드백(Feedback), 유연 폼 팩터(Form factor), 신규 바이너리(Binary) 센싱, AI 알고리즘 분석 기반으로 능동형 / 맞춤형 / 초박형의 재활 평가용 모바일 헬스케어 솔루션 고도화를 최종 목표

원주의료기기

테크노밸리


2020~

2022

상용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재활 헬스케어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개발

상용화 지원을 위한 인증 컨설팅 지원(워크숍 및 기술세미나 지원)

세부과제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상용화 지원을 위한 실증방안 마련

- 재활 데이터 수집/저장/처리를 위한 IoMT 플랫폼 구축

한국글로벌

헬스케어

사업협동

조합

2022~

2025

Vital Sign 측정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및 AI 헬스케어 알고리즘 개발

Vital Sign 측정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산업현장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및 AI 헬스케어 알고리즘 개발

협동조합 회원사가 기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 안전관리 관련 제품 및 서비스에 협동조합의 핵심역량인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를 융합한 고도화된 기술개발

주식회사 어반데이터랩

2023~

2025

난소암 생존자 맞춤형 헬스케어 개발 연구

난소암 환자의 수술범위 및 치료 단계에 따른 증상을 정확히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증상 개선 및 삶의질 향상을 도모

(주)메디플러스솔루션

2023~

2025

유방암 생존자의 치료 부작용 관리 및 회복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서비스 모델 개발 및 검증

실사형 근거기반 다양한 유방암 생존자의 미충족 헬스케어 니즈 극복을 위해, 암치료 관련 “급성·만성 부작용 관리 및 회복이 필요한 유방암 생존자”대상으로 자가평가결과·근거기반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및 자가관리 전략을 개발

4. 특허 분석

가. (전략품목) 데이터 분석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 전략품목에 대한 특허동향 분석, 기술동향 분석, 주요 출원인 분석을 통해 아래와 같이 결과 확인


[ 특허 분석 결과 ]

구분

분석 내용

특허동향 분석

특허증가율 분석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는 미시적으로 증감이 반복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거시적으로는 증가하고 있는 동향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 미국, 한국, 일본, 유럽 순으로 활발한 출원 활동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기술주기 분석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분야의 기술 위치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동향은 기술혁신의 주체인 특허출원인수와 기술혁신의 결과인 특허출원건수가 2구간부터 4구간까지 증가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성장기 단계로 파악됨

특허영향력 분석

주요 출원인들의 경쟁력 분석 결과, 전체국가에서는 SIEMENS MEDICAL SOLUTIONS의 특허가 상업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됨. 한국에서는 삼성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엘지전자가 평균지수(기술영향력(CPP):7.5 시장지배력(PFS) 1.4)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남

기술동향 분석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품목 분석 결과, Health Data, Health Management, Real Time 기술 관련 키워드가 주로 도출된 것으로 조사됨

기술현황 분석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품목은 섹션 G 물리학 (78%) 기술분야의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헬스케어 인포매틱스, 즉. 의료 또는 건강관리 데이터의 취급 또는 처리에 특히 적합한 정보통신 기술(G16H) 분야에서 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기술집중력 분석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품목은 기술 집중화 정도가 높지 않은 상태이므로 시장진입이 어렵지 않은 것으로 분석됨

주요 출원인 분석

출원인 동향 분석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품목의 주요 출원인을 살펴보면,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국적의 출원인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제 1출원인은 일본의 PANASONIC HOLDINGS인 것으로 조사됨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PANASONIC HOLDINGS는 건강관리 시스템, 서버 장치, 건강관리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삼성전자는 건강관리 시스템, 건강 정보, 피드백 데이터, 건강상태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에 관한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오퍼스원은 증상 정보, 건강관리 개인, 질의 인터페이스, 문진 정보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질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질병 발생 확률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시스템과 관련하여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4개 평가지표(활동도, 부상도, 시장력, 영향력)에 따른 정량적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이 도출


[ 평가지표/ 정량적 분석 ]

평가지표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

전체

중소기업

특허 활동도

40.4

26.6

50.3

4.3

22.0

100.0

특허 부상도

80.8

100.0

43.8

69.2

39.6

97.7

특허 시장력

26.6

26.0

63.0

100.0

45.0

21.2

특허 영향력

29.3

23.7

100.0

36.9

30.4

5.1


상대적 기술경쟁력

68.9

68.6

100.0

81.8

53.3

87.1

*각 평가지표 값은 원 계산 값에 상대적 비교의 편의성을 위해 최고점 100점으로 환산한 값이며, 상대적 기술경쟁력은 각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1:1로 반영하여 평균값을 도출



[ 주요 특허 선별지표 ]

선별지표

가중치

패밀리 특허 수(A)

2

피인용 횟수(B)

2

발명자 수(C)

2

청구항 수(D)

1.5

등록 여부(E)

1.5

IPC 수(F)

1


선별지표 최종 계산식

(A+B+C)X2 + (D+E)X1.5 + (F)X1

나. (전략품목)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 활용 운동 지원 서비스


□ 전략품목에 대한 특허동향 분석, 기술동향 분석, 주요 출원인 분석을 통해 아래와 같이 결과 확인


[ 특허 분석 결과 ]

구분

분석 내용

특허동향 분석

특허증가율 분석

주요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가장 활발한 출원활동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순으로 분석됨

기술주기 분석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기술 분야의 기술 위치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동향은 기술혁신의 주체인 특허출원인수와 기술혁신의 결과인 특허출원건수가 증가하는 동향을 보임으로 성장기 단계로 분석됨

특허영향력 분석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품목에 대한 주요 출원인들의 경쟁력 분석 결과, 전체국가에서는 HILL-ROMRVICES, PHILIPS, TECH PHARMACY SERVICES 특허가 상업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됨

한국에서는 한국전기연구원의 기술영향력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국내 기업의 시장확보력은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됨

기술동향 분석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품목에 대한 지난 20년간의 특허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결과, ‘Real Time’ 및 ‘Elderly People’이 주요 키워드로 도출됨

기술현황 분석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품목은 섹션 G 물리학 (70%) 기술분야의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감독 목적 정보 통신 기술(G06Q), 신호 또는 호출 시스템(G08B) 분야에서 집중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기술집중력 분석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품목은 기술 집중화 정도가 높지 않은 상태이며, 시장진입이 어렵지 않을 것으로 분석됨

주요 출원인 분석

출원인 동향 분석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품목의 주요 출원인을 살펴보면 미국, 중국, 한국 국적의 출원인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제 1출원인은 미국의 HILL-ROMRVICES인 것으로 조사됨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HILL-ROMRVICES는 Healthcare Facility, Record, Patient Support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모니터링 시스템, 환자 지원 시스템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PHILIPS는 Patient Data, Caregiver Observe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돌봄 관리 시스템, 환자 보호 시스템에 관한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STRYKER는 Patient Support, Patient Condition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환자 지지 장치 및 환자 지지 시스템 관련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 4개 평가지표(활동도, 부상도, 시장력, 영향력)에 따른 정량적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이 도출


[ 평가지표/ 정량적 분석 ]

평가지표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

전체

중소기업

특허 활동도

54.3

40.3

51.1

16.2

4.7

100.0

특허 부상도

92.6

93.2

57.9

78.7

46.7

100.0

특허 시장력

19.9

19.9

54.9

100.0

44.6

19.4

특허 영향력

17.5

18.7

100.0

17.8

17.4

3.6


상대적 기술경쟁력

69.8

65.2

100.0

80.6

43.0

84.5

*각 평가지표 값은 원 계산 값에 상대적 비교의 편의성을 위해 최고점 100점으로 환산한 값이며, 상대적 기술경쟁력은 각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1:1로 반영하여 평균값을 도출



[ 주요 특허 선별지표 ]

선별지표

가중치

패밀리 특허 수(A)

2

피인용 횟수(B)

2

발명자 수(C)

2

청구항 수(D)

1.5

등록 여부(E)

1.5

IPC 수(F)

1


선별지표 최종 계산식

(A+B+C)X2 + (D+E)X1.5 + (F)X1

다. (전략품목) 원격 모니터링 활용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 전략품목에 대한 특허동향 분석, 기술동향 분석, 주요 출원인 분석을 통해 아래와 같이 결과 확인


[ 특허 분석 결과 ]

구분

분석 내용

특허동향 분석

특허증가율 분석

주요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이 가장 활발한 출원활동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중국, 한국, 유럽, 일본 순으로 분석됨

기술주기 분석

원격 모니터링을 활용한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기술 분야의 기술 위치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동향은 기술혁신의 주체인 특허출원인수와 기술혁신의 결과인 특허출원건수가 증가하는 동향을 보임으로 성장기 단계로 분석됨

특허영향력 분석

원격 모니터링을 활용한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품목에 대한 주요 출원인들의 경쟁력 분석 결과, 전체국가에서는 CARDIAC INTELLIGENCE 특허가 상업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됨

한국에서는 에스케이텔레콤의 특허가 질적 수준이 가장 높으며, 아이티아이테크놀로지의 시장확보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됨

기술동향 분석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원격 모니터링을 활용한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품목에 대한 지난 20년간의 특허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결과, 특화망을 위한 ‘Real Time’이 주요 키워드로 도출됨

기술현황 분석

원격 모니터링을 활용한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품목은 섹션 A 생활필수품 (48%), G 물리학 (47%) 기술분야의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진단 수술 개인 식별(A61B), 헬스케어 인포매틱스(G16H) 분야에서 집중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기술집중력 분석

원격 모니터링을 활용한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품목은 기술 집중화 정도가 높지 않은 상태이므로 시장진입이 어렵지 않은 것으로 분석됨

주요 출원인 분석

출원인 동향 분석

원격 모니터링을 활용한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품목의 주요 출원인을 살펴보면 미국, 중국, 네덜란드 국적의 출원인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제 1출원인은 네덜란드의 PHILIPS인 것으로 조사됨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PHILIPS는 Remote Server, Patient Monitoring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원격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모니터링 웨어러블 기기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CARDIAC PACEMAKERS는 Medical Device, Remote Patient Care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정보 수집 및 분석 시스템, 데이터 교환에 관한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HILL ROM SERVICES는 Patient Support, Network Coupled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생체 신호 검출 분야 및 위치 모니터링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 4개 평가지표(활동도, 부상도, 시장력, 영향력)에 따른 정량적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이 도출


[ 평가지표/ 정량적 분석 ]

평가지표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

전체

중소기업

특허 활동도

23.4

15.4

100.0

1.1

24.3

52.6

특허 부상도

73.5

75.8

50.9

31.6

60.8

100.0

특허 시장력

21.9

22.5

83.3

26.8

100.0

20.5

특허 영향력

10.2

8.8

100.0

12.4

37.1

4.2


상대적 기술경쟁력

38.6

36.7

100.0

21.5

66.5

53.1

*각 평가지표 값은 원 계산 값에 상대적 비교의 편의성을 위해 최고점 100점으로 환산한 값이며, 상대적 기술경쟁력은 각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1:1로 반영하여 평균값을 도출



[ 주요 특허 선별지표 ]

선별지표

가중치

패밀리 특허 수(A)

2

피인용 횟수(B)

2

발명자 수(C)

2

청구항 수(D)

1.5

등록 여부(E)

1.5

IPC 수(F)

1


선별지표 최종 계산식

(A+B+C)X2 + (D+E)X1.5 + (F)X1

라. (전략품목) AI 맞춤형 환자·고령자 돌봄 플랫폼


□ 전략품목에 대한 특허동향 분석, 기술동향 분석, 주요 출원인 분석을 통해 아래와 같이 결과 확인


[ 특허 분석 결과 ]

구분

분석 내용

특허동향 분석

특허증가율 분석

주요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가장 활발한 출원활동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미국, 한국, 유럽, 일본 순으로 분석됨

기술주기 분석

환자‧고령자 상태 데이터 기반 AI 개인 맞춤형 돌봄 플랫폼 기술 분야의 기술 위치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동향은 기술혁신의 주체인 특허출원인수와 기술혁신의 결과인 특허출원건수가 증가하는 동향을 보임으로 성장기 단계로 분석됨

특허영향력 분석

환자‧고령자 상태 데이터 기반 AI 개인 맞춤형 돌봄 플랫폼 품목에 대한 주요 출원인들의 경쟁력 분석 결과, 전체국가에서는 PHILIPS, MEDAPPS 등 특허가 상업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됨

한국에서는 이지케어텍의 기술영향력 및 시장확보력이 상대적으로 모두 높은 것으로 분석됨

기술동향 분석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환자‧고령자 상태 데이터 기반 AI 개인 맞춤형 돌봄 플랫폼 품목에 대한 지난 20년간의 특허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결과, ‘‘Medical Data 및 ’Big Data’’가 주요 키워드로 도출됨

기술현황 분석

환자‧고령자 상태 데이터 기반 AI 개인 맞춤형 돌봄 플랫폼 품목은 섹션 G 물리학 (94%) 기술분야의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헬스케어 인포매틱스(G16H), 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처리(G06F) 분야에서 집중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기술집중력 분석

환자‧고령자 상태 데이터 기반 AI 개인 맞춤형 돌봄 플랫폼 품목은 기술 집중화 정도가 높지 않은 상태이며, 시장진입장벽이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됨

주요 출원인 분석

출원인 동향 분석

환자‧고령자 상태 데이터 기반 AI 개인 맞춤형 돌봄 플랫폼 품목의 주요 출원인을 살펴보면 중국, 미국, 유럽 국적의 출원인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제 1출원인은 네덜란드의 PHILIPS인 것으로 조사됨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PHILIPS는 Patient Information Record, Current Patient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환자정보 대응 기록 연동 시스템, 환자 임상 정보 프로토콜 자동 선택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SIEMENS HEALTHCARE는 Medical Image Data, Medical Imaging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의료 이미지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관한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PING AN TECH는 Digital Medical Treatment, Artificial Intelligence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머신 러닝 기반 의료 데이터 분야, 스마트 의료 데이터 관련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 4개 평가지표(활동도, 부상도, 시장력, 영향력)에 따른 정량적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이 도출


[ 평가지표/ 정량적 분석 ]

평가지표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

전체

중소기업

특허 활동도

17.6

15.9

48.8

11.9

5.2

100.0

특허 부상도

100.0

96.9

39.0

70.6

61.3

82.2

특허 시장력

36.4

36.4

68.0

100.0

50.5

23.8

특허 영향력

14.1

14.8

100.0

24.6

22.1

4.0


상대적 기술경쟁력

65.7

64.1

100.0

81.0

54.4

82.1

*각 평가지표 값은 원 계산 값에 상대적 비교의 편의성을 위해 최고점 100점으로 환산한 값이며, 상대적 기술경쟁력은 각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1:1로 반영하여 평균값을 도출



[ 주요 특허 선별지표 ]

선별지표

가중치

패밀리 특허 수(A)

2

피인용 횟수(B)

2

발명자 수(C)

2

청구항 수(D)

1.5

등록 여부(E)

1.5

IPC 수(F)

1


선별지표 최종 계산식

(A+B+C)X2 + (D+E)X1.5 + (F)X1

마. (전략품목)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 전략품목에 대한 특허동향 분석, 기술동향 분석, 주요 출원인 분석을 통해 아래와 같이 결과 확인


[ 특허 분석 결과 ]

구분

분석 내용

특허동향 분석

특허증가율 분석

주요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가장 활발한 출원활동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순으로 분석됨

기술주기 분석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기술 분야의 기술 위치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동향은 기술혁신의 주체인 특허출원인수와 기술혁신의 결과인 특허출원건수가 증가하는 동향을 보임으로 성장기 단계로 분석됨

특허영향력 분석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품목에 대한 주요 출원인들의 경쟁력 분석 결과, 전체국가에서는 HILL-ROMRVICES, PHILIPS, TECH PHARMACY SERVICES 특허가 상업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됨

한국에서는 한국전기연구원의 기술영향력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국내 기업의 시장확보력은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됨

기술동향 분석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품목에 대한 지난 20년간의 특허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결과, ‘Real Time’ 및 ‘Elderly People’이 주요 키워드로 도출됨

기술현황 분석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품목은 섹션 G 물리학 (70%) 기술분야의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감독 목적 정보 통신 기술(G06Q), 신호 또는 호출 시스템(G08B) 분야에서 집중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기술집중력 분석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품목은 기술 집중화 정도가 높지 않은 상태이며, 시장진입이 어렵지 않을 것으로 분석됨

주요 출원인 분석

출원인 동향 분석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품목의 주요 출원인을 살펴보면 미국, 중국, 한국 국적의 출원인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제 1출원인은 미국의 HILL-ROMRVICES인 것으로 조사됨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HILL-ROMRVICES는 Healthcare Facility, Record, Patient Support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모니터링 시스템, 환자 지원 시스템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PHILIPS는 Patient Data, Caregiver Observe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돌봄 관리 시스템, 환자 보호 시스템에 관한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STRYKER는 Patient Support, Patient Condition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환자 지지 장치 및 환자 지지 시스템 관련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 4개 평가지표(활동도, 부상도, 시장력, 영향력)에 따른 정량적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이 도출


[ 평가지표/ 정량적 분석 ]

평가지표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

전체

중소기업

특허 활동도

54.3

40.3

51.1

16.2

4.7

100.0

특허 부상도

92.6

93.2

57.9

78.7

46.7

100.0

특허 시장력

19.9

19.9

54.9

100.0

44.6

19.4

특허 영향력

17.5

18.7

100.0

17.8

17.4

3.6


상대적 기술경쟁력

69.8

65.2

100.0

80.6

43.0

84.5

*각 평가지표 값은 원 계산 값에 상대적 비교의 편의성을 위해 최고점 100점으로 환산한 값이며, 상대적 기술경쟁력은 각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1:1로 반영하여 평균값을 도출



[ 주요 특허 선별지표 ]

선별지표

가중치

패밀리 특허 수(A)

2

피인용 횟수(B)

2

발명자 수(C)

2

청구항 수(D)

1.5

등록 여부(E)

1.5

IPC 수(F)

1


선별지표 최종 계산식

(A+B+C)X2 + (D+E)X1.5 + (F)X1

바. (전략품목)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


□ 전략품목에 대한 특허동향 분석, 기술동향 분석, 주요 출원인 분석을 통해 아래와 같이 결과 확인


[ 특허 분석 결과 ]

구분

분석 내용

특허동향 분석

특허증가율 분석

주요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가장 활발한 출원활동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한국, 일본, 미국, 유럽 순으로 분석됨

기술주기 분석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 분야의 기술 위치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동향은 기술혁신의 주체인 특허출원인수와 기술혁신의 결과인 특허출원건수가 유사한 수준의 동향을 보임으로 성숙기 단계로 분석됨

특허영향력 분석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주요 출원인들의 경쟁력 분석 결과, 전체국가에서는 INTUITIVE SURGICAL 특허가 상업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됨

한국에서는 에스케이플래닛의 특허가 질적 수준이 가장 높으며, 휴톰의 기술영향력 및 시장확보력이 상대적으로 모두 높은 것으로 분석됨

기술동향 분석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지난 20년간의 특허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결과,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을 위한 ‘Surgical Procedure’ 및 ‘가상 공간’ 키워드로 도출됨

기술현황 분석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 품목은 섹션 G 물리학 (52%), 섹션 A 생활필수품 기술분야의 비중(39%)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진단; 수술; 개인 식별(A61B), 이미지 데이터 처리 또는 발생, 일반(G06T) 분야에서 집중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기술집중력 분석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 품목은 기술 집중화 정도가 높지 않은 상태이므로 시장진입이 어렵지 않은 것으로 분석됨

주요 출원인 분석

출원인 동향 분석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의 주요 출원인을 살펴보면 미국, 한국, 중국, 일본 국적의 출원인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제 1출원인은 미국의 INTUITIVE SURGICAL인 것으로 조사됨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INTUITIVE SURGICAL는 Virtual Fixture, Camera View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3D 모뎅링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CILAG INT는 Surgical Procedure, Visualization Data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3D 시뮬레이션에 관한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ALLERGAN는 Determine Dimensional Analysis, Breast Surgery 등의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수술 전 관련 구조를 시각화하는 기술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 4개 평가지표(활동도, 부상도, 시장력, 영향력)에 따른 정량적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이 도출


[ 평가지표/ 정량적 분석 ]

평가지표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

전체

중소기업

특허 활동도

63.5

47.6

74.8

35.8

48.0

100.0

특허 부상도

88.7

88.4

90.6

85.4

62.1

100.0

특허 시장력

27.1

29.4

93.6

100.0

41.7

22.4

특허 영향력

16.1

16.4

100.0

39.1

17.4

6.0


상대적 기술경쟁력

54.4

50.6

100.0

72.5

47.1

63.6

*각 평가지표 값은 원 계산 값에 상대적 비교의 편의성을 위해 최고점 100점으로 환산한 값이며, 상대적 기술경쟁력은 각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1:1로 반영하여 평균값을 도출



[ 주요 특허 선별지표 ]

선별지표

가중치

패밀리 특허 수(A)

2

피인용 횟수(B)

2

발명자 수(C)

2

청구항 수(D)

1.5

등록 여부(E)

1.5

IPC 수(F)

1


선별지표 최종 계산식

(A+B+C)X2 + (D+E)X1.5 + (F)X1

5. 기술개발 로드맵


가. (전략품목) 데이터 분석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 전략품목에 대한 핵심기술 및 개발목표 등을 토대로 기술개발 로드맵 구축



[ 「데이터 분석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

중분류

핵심기술

기술

요구사항

개발목표

최종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빅데이터

분석 기술

AI 기반 건강 정보 분석 기술

-건강검진이나 진료 등을 통해 확보한 건강상태 시계열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미래 특정 시점의 건강상태를 정확하게 예측

- 건강정보 기반 건강상태 진단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진단 신뢰도 90% 이상)

-건강정보 수치 예측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예측 정확도 90% 이상)

-건강상태 예측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예측 정확도 90% 이상)

-혈압, 혈당 등 건강정보 수치에 대한 예측을 넘어 건강 나이 등 종합적인 건강상태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

질병 상태 예측·분석 기술

-건강검진이나 진료 등을 통해 확보한 질병 상태 시계열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미래 특정 시점의 질병의 상태를 정확하게 예측

-건강정보 기반 질병 상태 진단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진단 신뢰도 90% 이상)

-질병 정보 수치 예측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예측 정확도 90% 이상)

-질병 예후 예측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예측 정확도 90% 이상)

-혈압, 혈당 등 건강정보 수치에 대한 예측을 넘어 질병의 예후 등 미래 질병 상태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

맞춤형 건강 정보·활동 추천 서비스 기술

-개인의 건강정보를 기반으로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건강 활동을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기술

- 데이터 기반 개인맞춤형 건강증진 활동 추천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추천 신뢰도 90% 이상)



-혈압, 혈당 등 건강정보와 생활습관, 생활방식, 선호도 등을 기반으로 최적화된 개인맞춤형 건강 증진 활동 추천 기술 개발

플랫폼

서비스

기술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구축 기술

-개인의 건강정보를 개인을 중심으로 통합하여 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건강관리 플랫폼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설계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구현

-(개인맞춤 신뢰도 90% 이상)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개인이 직접 측정한 건강정보를 기반으로 건강증진, 질병 예방, 만성질환 관리 등 개인의 건강관리를 개인맞춤형으로 제공하는 플랫폼 기술 개발

나. (전략품목)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 활용 운동 지원 서비스

□ 전략품목에 대한 핵심기술 및 개발목표 등을 토대로 기술개발 로드맵 구축



[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 활용 운동 지원 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

중분류

핵심기술

기술

요구사항

개발목표

최종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측정 기술

웨어러블 생체신호 측정 기술

-운동 지원에 필요한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웨어러블 기기 개발의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지만, 정확도가 높지 않고 데이터 확장성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성이 높음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 일상 생활 중 생체 신호 측정 및 분석 정확도 90% 달성

- 시제품 제작 및 성능 평가, 일상 생활 중 생체 신호 측정 및 분석 정확도 95% 달성, 임상 시험 추진 후 데이터 검증 및 신뢰성 평가

-단계별 의료기기 인증 추진 및 획득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생체 신호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분석 하여 정확도 95%를 달성하고, 임상 시험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 후 의료 기기 인증을 획득함

분석

기술

의복내장형 생체 정보 모니터링 기술

-정확도가 높지 않고 데이터 확장성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 일상 생활 중 생체 신호 측정 및 분석 정확도 90% 달성

-시제품 제작 및 성능 평가, 일상 생활 중 생체 신호 측정 및 분석 정확도 95% 달성, 임상 시험 추진 후 데이터 검증 및 신뢰성 평가

-단계별 의료기기 인증 추진 및 획득

-의복내장형 장치를 통해 생체 신호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분석 하여 정확도 95%를 달성하고, 임상 시험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 후 의료 기기 인증을 획득함

센서

기술

패치형 디바이스 센싱 기술

-정확도가 높지 않고 데이터 확장성이 부족한 문제점을 해결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 일상 생활 중 생체 신호 측정 및 분석 정확도 90% 달성

-시제품 제작 및 성능 평가, 일상 생활 중 생체 신호 측정 및 분석 정확도 95% 달성, 임상 시험 추진 후 데이터 검증 및 신뢰성 평가

-단계별 의료기기 인증 추진 및 획득

-패치형 디바이스를 통해 생체 신호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분석 하여 정확도 95%를 달성하고, 임상 시험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 후 의료 기기 인증을 획득함

다. (전략품목) 원격 모니터링 활용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 전략품목에 대한 핵심기술 및 개발목표 등을 토대로 기술개발 로드맵 구축



[ 「원격 모니터링 활용 임상 및 환자 관리 서비스」 기술개발 로드맵 ]

중분류

핵심기술

기술

요구사항

개발목표

최종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데이터 수집·분석 기술

웨어러블 기기 활용 의료 데이터 수집 기술

-원격으로 환자 및 임상 시험 대상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바일 및 웨어러블 의료기기의 역할에 대한 필요성 증가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 일상 생활 중 생체 신호 측정 및 분석 정확도 90% 달성

-시제품 제작 및 성능 평가, 일상 생활 중 생체 신호 측정 및 분석 정확도 95% 달성, 임상 시험 추진 후 데이터 검증 및 신뢰성 평가

-단계별 의료기기 인증 추진 및 획득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생체 신호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분석 하여 정확도 95%를 달성하고, 임상 시험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 후 의료 기기 인증을 획득함

의료 데이터 분석 기술

-팬데믹 사태 이후 분산 임상 시험 (DCT)의 시장이 성장하고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므로, 임상 시험 대상자의 복약 상황과 결과를 관리하고 대량의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인공지능의 기술 개발이 필요함

-의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인공지능 모델 개발

-개발된 인공지능 모델의 성능 검증 및 고도화

-인공지능 서비스 플랫폼 개발 및 고도화

-인공 지능 모델의 정확도를 개선하고 임상 시험을 통해 결과를 검증하고 신뢰성을 확보함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

임상 시험 대상 원격 모니터링 기술

-원격 의료 및 분산형 임상시험 (DCT)에 적용 가능한 원격 모니터링 기술 개발의 필요성 증가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수집된 데이터를 전자의무기록 (eletronic medical record)으로 전송하는 시스템 개발

-의료진의 진료 프로세스에 접목하는 시스템 개발

-임상 시험 대상자의 복약, 생체 신호, 의료 데이터가 실시간 저장되고, 임상 시험 관리자가 모니터링 하는 기술 개발

라. (전략품목) AI 맞춤형 환자·고령자 돌봄 플랫폼

□ 전략품목에 대한 핵심기술 및 개발목표 등을 토대로 기술개발 로드맵 구축



[ 「AI 맞춤형 환자·고령자 돌봄 플랫폼」 기술개발 로드맵 ]

중분류

핵심기술

기술

요구사항

개발목표

최종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플랫폼

서비스

기술

디지털 기반 돌봄서비스 플랫폼 구축 기술

-지속적인 데이터 확보를 위한 시스템의 유지 보수 기술과 정기적인 진단 및 모니터링 도구를 활용한 시스템 안전성 확보가 필요

-디지털 기반 돌봄 서비스 플랫폼 제작 및 운영

-1차년도 간병 서비스 매칭완료 DB 4,000건 달성

-디지털 기반 돌봄 서비스 플랫폼 운영 및 성능 향상,

- 2차년도 간병 서비스 매칭완료 DB 7,000건 달성

-디지털 기반 돌봄 서비스 플랫폼 운영 및 성능 향상,

- 3차년도 간병 서비스 매칭완료 DB 9,000건 달성

-간병 산업의 폐쇄성과 불투명성을 해결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 자료 확보 시스템 개발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간병에 대한 명확한 데이터베이스 구현(확보목표: 간병 서비스 매칭완료 DB 2만 건)

AI

기술

돌봄 서비스 패턴 분석 추천 알고리즘 기술

-데이터에 기반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최적의 간병 시간, 유형 등을 도출하고 이에 맞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안내하는 프로세스가 필요

-확보되는 간병 서비스 이용 내역을 전처리

-이를 활용하여 환자‧고령자의 돌봄 서비스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모형 생성

-환자‧고령자 돌봄 서비스 사용 패턴 분석 모형의 성능 향상 및 도출된 결과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공개하는 기능 구현

-환자‧고령자 돌봄 서비스 사용 패턴 분석 모형의 성능 향상 및 정보 공개 내용이 실제 사용자의 서비스 신청 내역을 포함하는 비율 70% 달성

-확보된 간병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환자‧고령자의 돌봄 서비스 패턴을 분석하고 새로운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패턴을 예측하여 이를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게 제공

간병인 매칭 구축 기술

-간병인의 경력정보와 환자‧고령자의 질병정보, 보호자의 만족도 특성 등의 DB를 분석하여 유사한 질병 및 만족도 특성을 가진 새로운 환자‧고령자와 간병인을 상호 추천하고 매칭

-확보되는 간병 서비스 이용 내역을 전처리하고 이를 활용하여 간병인의 돌봄 서비스 제공 패턴을 분류하여 선호하는 근무 형태를 예측

-빈번히 변경되는 간병인의 개인별 스케줄에 맞춰 실시간으로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고 즉시 응답이 가능한 AI 기반의 추천 시스템 구현

-구현한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및 서비스 이용률 70% 이상 달성

-AI를 활용한 간병인 추천 및 매칭 시스템을 구현하고 환자‧고령자의 해당 서비스 이용률 70% 이상 달성

마. (전략품목)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 전략품목에 대한 핵심기술 및 개발목표 등을 토대로 기술개발 로드맵 구축



[ 「노인장기요양 수급자 온라인 매칭·관리 시스템」 기술개발 로드맵 ]

중분류

핵심기술

기술

요구사항

개발목표

최종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매칭

시스템

구축

기술

보험 수급자·요양

보호사 매칭 구축 기술

-노인장기요양보험 청구를 위한 방문 요양 센터용 온라인 계약 서비스 환경이 필요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요양보호사 매칭 시스템 개발

-방문요양센터용 온라인 계약 서비스 환경 구성, 1차년도 요양보호사 매칭 DB 4,000건 달성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요양보호사 매칭 시스템 운영 및 성능 향상, 2차년도 요양보호사 매칭 DB 7,000건 달성

-모바일 기반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요양보호사 매칭 시스템 운영 및 성능 향상, 3차년도 요양보호사 매칭 DB 9,000건 달성

-수급자가 플랫폼 내에서 요양보호사의 프로필과 경력 및 후기 등을 확인하고 직접 선택하는 매칭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

결제·정산 시스템 구축 기술

-추가 근무를 본인 부담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능

-요양보호사 초과 근무시간 자동 DB화 방식 구현 및 정산 시스템 개발

-요양보호사 초과 근무 인건비와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본인부담금의 통합 결제‧정산 시스템 개발 및 운영

-개발된 결제‧정산 시스템의 고도화 및 문제점 개선

-요양보호사 초과 인건비 및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본인부담금의 통합 결제‧정산 시스템을 구현

-요양보호사들의 일감 중단 및 임금 착취 등 불합리한 처우 문제를 개선

알고

리즘

기술

요양보호사 자동 추천 알고리즘 기술

-수급자에게 요양보호사에 대한 자세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최적의 요양보호사를 추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의 개발이 필요

-요양보호사 이용 내역 및 만족도 수집 기술 환경 구성

-요양보호사별 특장점 및 경력을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 기반 프로필 개발 및 공개

-축적된 데이터와 AI 기반 최적의 요양보호사 자동 추천 알고리즘 구현 및 해당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개발 및 운영

-구현한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및 서비스 이용률 70% 이상 달성

- AI 기반 요양보호사 자동 추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매칭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 비대칭성을 개선

바. (전략품목) 3D 신체형상 시뮬레이션 서비스

□ 전략품목에 대한 핵심기술 및 개발목표 등을 토대로 기술개발 로드맵 구축



처음 페이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