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조회결과
로드맵 분류표 보기컴퓨팅인프라
통합보고서 다운로드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 발행 년도 : 2017년1. 기술로드맵
2. 개요
- 가. 정의 및 범위
- 나. 주요 제품
-
[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분류 제품분류 관점 세부기술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컨버지드 인프라 기술 x86 서버 기술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공유 기술 통합 관리 소프트웨어 기술 가상화 기술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기술 [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분류 공급망 관점 세부기술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기술 빅데이터/분석 시스템 운영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시스템을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분석기법’과 데이터를 수집, 조작, 관리, 분석하기 위한 ‘처리기술’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를 활용하는 기술 VDI 운영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데스크탑을 가상화하고, 이를 중앙에서 사용자 환경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이런 가상 테스크톱을 구현하고 운영하는데 있어서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를 활용하는 기술 개발/테스트 시스템 운영 각종 I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테스트하는데 있어서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를 활용하는 기술 ERP 등 일반 업무용 애플리케이션 전사적자원관리(ERP)와 같은 기업의 핵심 업무용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있어서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를 활용하는 기술 그룹웨어 등 생산성 애플리케이션 그룹웨어나 오피스웨어 같은 생산성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있어서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를 활용하는 기술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 가. 세계시장
-
전세계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시장은 2016년 약 19억 달러에서 수요 급증으로 2021년에는 11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기술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벡만 달러)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기술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세계시장 1,900 3,100 4,000 4,800 7,300 11,100 42.3 * 출처 : IDC Hyper-converged Systems 2015-2019 Forecast, February, 2016으로 추정
-
전세계 시장조사 전문기관 중 하나인 IDC는 컨버지드 인프라 시스템 시장을 ▲초기 컨버지드 인프라인 ‘통합 인프라(Integrated Infrastructure)’, ▲업체 간 HW 및 SW 호환 검증을 거친 ‘인증 레퍼런스 시스템(Certified Reference System)’, ▲데이터베이스나 개발 소프트웨어 등과 통합된 ‘통합 플랫폼(Integrated Platform)’, 그리고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Hyper-converged Infrastructure)에 해당되는 4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시장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 중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는 타 컨버지드 시스템들의 매출이 지난해 대체로 줄어드는 추세를 보인 것과는 반대로 유일하게 성장을 기록
- 전 세계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제품 시장은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Stratistics MRC에 따르면 2015년 약 8억 456만 달러 규모에서 수요 급증으로 2022년에는 약 128억 126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
지역별로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시장의 규모를 살펴보면 ‘16년 기준으로 북미지역이 7억4천만 달러 규모로 점유율 38.9%를 차지하여 가장 시장이 크고, 아시아-태평양, 유럽 지역이 그 뒤를 잇고 있음
[ 세계 지역별 센서 시장 전망 ]
* 출처 : TMR Analysis, May 2017
- 나. 국내시장
-
2017년 IDC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국내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내수시장은 ‘16년 약 1,980억 원 규모에서 연평균 10% 증가하여 ‘21년에는 3,189억 원 규모를 형성할 전망
[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기술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 ]
(단위 : 억 원, %)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기술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국내시장 1,980 2,178 2,396 2,635 2,899 3,189 10.0 * 출처 : IDC Korea Converged Systems Market Shares 2016으로 추정
[ 국내 클라우드 시스템 인프라 서비스(IaaS) 시장 규모 현황 및 전망 ]
(단위 : 백만 원)
국내 클라우드 시스템 인프라 서비스(IaaS) 시장 규모 현황 및 전망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54,359 321,529 415,767 507,122 605,026 * 출처 : Gartner, 2016년-2020년 한국 퍼블릭 클라우드 최종 사용자 지출 전망, 2016년 12월 (단위 백만 원)
-
국내 기업들 가운데 국산 하이버 컨버지드 인프라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업체는 세 개 업체((주)TERA TEC과 이노그리드의 XERO STACK, ㈜퓨전데이터의 JD-ONE)에 불과한 상황이며, 델 EMC, HPE, 히타치데이터시스템즈, 시스코 같은 세계적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인지도가 낮아 기술력을 갖추고도 마케팅 경쟁에서 밀리는 상황
-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해 국내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1.19조 원으로 전년(7,664억 원) 대비 55.2% 증가하였으며, 클라우드 기업도 전년 대비 51.6% 증가 (353→535개, 182개↑)
-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의 종사자는 ‘13년 기준 3,830명에서 ‘14년 5,722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종사자 수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
4.기술분석
- 가. 기술환경 분석
-
정부는 클라우드 이용 확산을 통해 비용절감 및 업무혁신을 유도하고, 취약한 국내 클라우드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제1차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기본계획(‘16~‘18)」을 2015년 11월에 수립하고, 2017년 1월에는 「K-ICT전략」 의 핵심과제 중 하나인 ‘클라우드컴퓨팅 산업 육성 지원’의 일환으로 「2017년 K-ICT 클라우드컴퓨팅 활성화 시행계획」을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마련
[ 클라우드 활성화 기반구축을 위한 정부 전략 ]
* 출처 : 과기정통부 (2016. 3. 29)
-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은 기존의 주력산업과 융합을 통해 산업간/산업 내 기술/서비스 등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국내에서 발생하는 직/간접적 경제 효과는 2020년까지 3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더불어 54만 명의 고용창출효과까지 기대
[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
(단위 : 10억 원, 명)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생산유발효과 3,824 4,985 6,500 8,475 11,050 14,408 부가가치유발효과 1,984 2,587 3,374 4,399 5,735 7,478 고용유발효과 36,166 47,155 61,483 80,164 104,523 136,284 * 출처 : ETRI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와 소비자 니즈 분석, 2011
[ R&D 정책 방향 ]
R&D 정책 방향 분류 정부 정책 방향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 통신부
5. 핵심요소기술 선정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에 적합한 핵심요소기술 선정
[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분야 핵심요소기술 ]
분류 | 핵심요소기술 | 설명 |
---|---|---|
x86 서버 | HCI 상호운영성을 제공하는 서버 플랫폼 개발 | HCI 상호운영성을 제공하는 서버 플랫폼 개발에 관한 기술 |
고성능/고가용성 구조의 서버 플랫폼 개발 | 고성능/고가용성 구조의 서버 플랫폼 개발에 관한 기술 | |
하이퍼바이저 | 멀티플랫폼 지원 기술 개발 | 호스트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를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멀티 플랫폼에 관한 기술 |
가상머신 중심의 데이터 보호 아키텍처 구현 기술 개발 | 가상머신 중심의 데이터 보호 아키텍처 구현 기술 개발 | |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기술 개발 | 물리적인 스토리지 리소스를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에 논리적으로 표시하는 프로세스로서, 모든 스토리지 미디어(하드 디스크, 광학 디스크, 테이프 등)를 단일 스토리지 풀로 처리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술 개발 | 제어용 소프트웨어로 통신 흐름을 관제 · 운용 · 기록하는 통신 네트워크임. 컴퓨팅 서버 · 스토리지 · 망 자원 등을 소프트웨어(SW)로 관에 관한 기술 | |
관리 소프트웨어 | 자동화된 백업/복구 기술 개발 | 백업 및 복구 기술의 자동화에 관한 기술 |
자동화된 Replication/Disaster Recovery 기술 개발 | 자동화된 Replication/Disaster Recovery 기술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