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조회결과
로드맵 분류표 보기스마트가전
통합보고서 다운로드고효율 난방기기
* 발행 년도 : 2017년1. 기술로드맵
2. 개요
- 가. 정의 및 범위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 가. 세계시장
-
[ 히트펌프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히트펌프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국내시장 72,600 80,590 89,450 100,180 111,000 122,980 10.7 * 출처: Frost&Suiliran(2014), ‘Forecast Period and Revenue’
- 글로벌 히트펌프의 세계시장 규모는 ‘16년 72,600백만 달러에서 10.7%의 연평균 성장률로 ‘21년에는 122,980백만 달러의 규모를 예상
- 세계적인 시장 연구 회사인, Global Research & Data Services의 최신 연구에 따르면 세계 가정용 히터 산업의 확장은 향후 2.9% 성장 할 것으로 예상되고 2007년부터 2013년 사이 시장은 연평균 성장 5.3%로 증가했음
- 캐나다, 중국, 독일, 일본 및 미국은 가장 큰 가정용 전열 기구 시장을 대표하며 탄자니아(35%), 요르단(15.6%), 볼리비아(14.8%), 필리핀(12%) 그리고 아제르바이잔 (9.5%)의 연 성장률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됨
- EU가 가전제품에 적용하는 에너지 라벨제도에 전기히터를 포함시키는 문제를 두고 그 동안 많은 검토가 이뤄지고 있지만 관련 산업들의 반대에 부딪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EU는 1990년대 중반 냉장고나 세탁기, 전기오븐 등 가전제품에 에너지 라벨지침을 제정해 녹색의 A 등급에서부터 적색의 G등급까지 구분해 표시함. 또한, 그 이후 기술발전이 이루어져 대부분의 가전제품이 A등급을 받게 되자 EU 집행위는 2009년 4월 A등급에 새로운 표시를 덧붙이는 라벨을 제안
- EU는 이러한 에너지 라벨 제도가 환경 친화적인 가전제품의 소비를 촉진하는데 기여했다고 평가하고, 2016년부터는 전기히터에 대해서도 색깔별로 에너지효율 등급을 표시하는 라벨 부착을 모색
- EU 28개국에서 전기히터로 소비되는 연간 전력량은 180TW로 가정 전력소비의 약 1/5을 차지하는데, 이것이 순간적인 전력부족 사태를 가져올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음
- 네덜란드 전기히터(HS 851629) 수입은 2012년부터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옥외난방기구, 할로겐 난방기구의 수출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되나 전기히터에 대한 에너지라벨 부착 논란이 고조되며, 에너지 효율성에 대한 관심이 환기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수출업체들의 대비가 필요
-
World Trade Atlas에 따르면 2014년 4월의 미국의 이동식 전기난방기 제품 수입 시장규모는 약 1억8800만 달러(2014년 1~7월)로 전년 대비 32.64% 성장
[ 미국 이동식 난방 기기 시장 ]
(단위: 달러)
미국 이동식 난방 기기 시장 제조업체명 브랜드명 시장점유율 소비자가격 De’Longhi De’Longhi - 30 ~ 200 Sunbeam Holmes 40 20 ~ 70 Kaz USA Honeywell - 25 ~ 80 Lasko Products Lasko - 20 ~ 100 Midea Group Pelonis - 15 ~ 100 * 출처: De’Longhi, Holmes, Honeywell, Lasko, Pelonis
- 최근 한국 전자제품 인지도가 상승하면서 전반적으로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은 좋아지고 있으며 대학생 및 직장인과 같은 경우는 기능 및 디자인을 중시하며, 어린 아이나 노인의 경우 안정성 있는 제품을 선호함
- 1인 1가구 젊은 층을 위한 세련된 디자인과 슬림형으로 설치 공간이 작아도 되고, 자동온도 조절기능, 과열 차단방지 및 실내온도 감지기능 등 첨단장치를 갖춘 상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중국은 개인 소득수준의 향상과 넓은 영토의 다양한 기후조건 때문에 개인 난방보조기기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임
-
개인 난방보조기기 중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환경개선 및 온도조절로 전기절약이 가능한 온수매트의 수요가 증가세에 있음
- 나. 국내시장
-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안전하고 편리한 난방기기 수요 증가하고 1인 가구의 증가로 소형 보조 난방기 수요 증가하고 전기료 인상 및 제품 소비 전력에 대한 부담감 및 저가 중국제품의 공세에 의한 국내시장에서의 경쟁은 치열해 질 것 으로 예상
- 전기효율 증가 및 전자기파 차단 등의 신기술 접목 제품 등장하고 국내 중소형 생활가전의 제품경쟁력이 해외 제품대비 상대적으로 우수 평가 받고 있음
-
세계보전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전자파를 발암물질 2B(발암가능물질)로 분류 (전자기파에 대한 위험성의 대두) 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 및 화상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증가하고 있으며 동절기 전력수급과 관련된 전열기기에 대한 사용제한 등은 관련 시장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
[ 전기식 난방기기 제품의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억 원, %)
전기식 난방기기 제품의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국내시장 371 376 380 383 388 394 1.37 -
국내 가정용 전기식 난방기기 제품의 시장규모는 ‘16년 371억 원에서 1.37%의 연평균 성장률로 ‘21년에는 394억 원으로 예상
[ 전기식난방기기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 출처: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kr) 광업·제조업조사(품목편)
- 전기담요 및 장판 출하금액은 2010년 1,257억 원에서 2014년 2,226억 원으로 증가하였으며, 시장 환경, 업황 등을 감안 시 연평균 3.18%(TAGR™1))씩 증가하여, 2019년에는 2,603억 원에 달할 전망
- 전기담요/장판 및 가정용 전기식 난방기기 관련 산업이 차지하고 있는 시장규모, 시장성장성, 장단기 시장전망, 수익성, 경쟁강도, 수명주기 및 시장촉진·저해요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시장매력도는 ‘보통' 수준으로 판단되며 제품 수명주기 상 '성숙기'에 해당하며, 법, 규제 등 시장 환경은 보통인 것으로 판단됨
- 소바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키는 제품 개발이 필요하고 전자파를 줄이고, 화상·화재 등으로부터의 안정성을 높인 제품 개발이 필요
- 에너지 규제의 강화, 기후, 인구 등 생활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개발 역량이 필요하고 전기 난방기기 발전방향과 부합하는 소형화, 고효율 기술 개발이 요구
4.기술분석
- 가. 기술환경 분석
-
에너지 절전형 및 안전형
-
제품의 슬림화, 친환경 및 맞춤형
-
제품의 스마트화
5. 핵심요소기술 선정
[ 고효율 난방기기 핵심요소기술 ]
분류 | 핵심요소기술 | 개요 |
---|---|---|
전기장판 온수매트 기술 | 전기장판·온수매트 소재기술 | 전기적 가열히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차단, 과열 방지할 수 있는 장판 및 매트 소재기술 |
전기적 안전기술 | 전자파 차단, 과열로 인한 인체손상을 방지하는 안전기술 | |
온수매트용 보일러 기술 | 직접, 간접 가열방식을 통하여 급수관부, 히터, 환수관부 개선을 통해 소형 매트에 적합한 가열기술 | |
전기난로 온풍기 기술 | 히터 기술 | 세라믹, 할로겐, 원적외선, 중적외선, 근적외선, 레드쏠라 근적외선, 발열패드 등 히터기술 |
필터 기술 | 공기 정화 등 실내 공기 환경을 유지하는 필터 기술 | |
전기난로·온풍기 제어기술 | 전자파 차단, 과열로 인한 인체손상을 방지하는 안전기술 및 주변 환경을 고려한 온도조절 기술 | |
IoT 기능 기술 | 스마트 전력관리 기술 | 전통적인 고효율난방기기에 IoT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스마트 전력 모니터링/제어/관리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