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조회결과
로드맵 분류표 보기스마트가전
통합보고서 다운로드융ㆍ복합형 정수기
* 발행 년도 : 2017년1. 기술로드맵
2. 개요
- 가. 정의 및 범위
- 나. 주요 제품
-
[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기술개발 테마 제품분류 관점 세부기술 정수기 원수 공급 방식에 따른 분류 저장형 직수형 정수 원리 및 방식에 따른 분류 자연여과식 필터여과식 이온교환 수지식 역삼투압식 부가기능에 따른 분류 다기능 융합 기술 스마트화 기술 [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기술개발 테마 공급망 관점 세부기술 정수기 필터 기술 냉각장치 기술 가열장치 기술 센서, 밸브 등 부품 기술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 가. 세계시장
-
[ 정수기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정수기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세계시장 50,850 58,990 68,460 79,480 92,310 107,172 16.1 * 출처 : TechSci Research(2015)
-
세계 정수기 시장은 ‘16년 50,850백만 달러에서 향후 6년간 매년 16.1%씩 성장하여 ‘21년 107,172백만 달러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
- 나. 국내시장
-
[ 정수기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억 원, %)
정수기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세계시장 22,000 22,482 22,974 23,477 23,991 29,245 2.19 * 출처 : BCC Research(2015), Air Pollution Control Equipment: Technologies and Global Markets '12-'14년 성장률을 이용하여 계산
-
국내 정수기 시장규모는 ‘16년 기준 2조 2,000억 원으로 추산되며, 2.19%의 연평균 성장률로 ‘21년 약 2조 9,245억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
-
국내 정수기 시장은 코웨이가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며, 렌탈 계정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
4.기술분석
- 가. 기술환경 분석
-
한국소비자원과 국내 주요 정수기사업자들은 위생관리 향상을 위한 정례협의체 발족하여 위생관리 향상을 도모하고, 정수기 사용 소비자들의 피해 저감을 위한 자율적 안전 규약을 선포함
-
「중국 정수기 시장 현황 분석」보고서에 의하면 중국내 수질 오염 상태가 심각하며, 이에 최근 10년간 연평균 1,700여건에 이르는 수질오염사고가 발생했으며, 이에 따른 종수 제품의 수요가 급증하여 정수기 시장 발전의 계기가 될 것으로 분석함
5. 핵심요소기술 선정
[ 융·복합형 정수기 핵심요소기술 ]
분류 | 핵심요소기술 | 개요 |
---|---|---|
정수기술 | 정수기 기기제어 기술 | |
위생/살균 기술 | ||
기능수 발생 기술 | ||
다기능 융합 기술 | ||
효율화 기술 | 부품 소형화 기술 | |
고효율화 기술 | ||
IT융합 기술 | 오염 측정 기술 | |
상태 모니터링 기술 | ||
원격 제어 기술 | ||
자가 관리 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