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조회결과
로드맵 분류표 보기에너지
통합보고서 다운로드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설비
* 발행 년도 : 2017년1. 기술로드맵
2. 개요
- 가. 정의 및 범위
- 나. 주요 제품
-
[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기술개발 테마 제품분류 관점 세부기술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설비 연료 제조 원료 연료 발전 및 이용 전기 열 화학원료 [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기술개발 테마 공급망 관점 세부기술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설비 연료제조 및 이용 가연성 폐기물 전처리 설비 성형기 대기방지 설비 발전 및 이용 연소 보일러 발전설비 대기방지설비 이용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 가. 세계시장
-
폐기물에너지를 중심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의 전 세계 시장 규모는 ‘16년 277억 달러에서 연평균 7.5% 성장하여 2021년 400억 달러 전망
[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설비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설비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16~'21) 세계시장 27,700 29,700 32,000 34,400 37,000 40,000 7.5% * 출처 : Zion Research의 Waste to Energy (2016) 데이터 이용 재구성
-
폐기물 에너지시장은 소각 폐열, 열분해 및 가스화 부문이 80% 이상, 바이오가스 분야는 현재 규모는 작지만 연평균 9.4% 이상 빠르게 성장 추세
[ 폐기물 에너지 기술별 및 지역별 시장규모 및 전망 ]
- 나. 국내시장
-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설비 시장은 2016년 20조 5천억 원에서 2021년 26조 9천억 원 규모로 성장 전망
[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설비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억 원, %)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설비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구분 ‘15 ‘16 ‘17 ‘18 ‘19 ‘20 CAGR('13~'15)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설비폐자원 에너지화
기기 제조9,918 10,384 10,872 11,383 11,918 12,478 -4.2 폐자원 에너지화
관련시설 건설10,980 11,496 12,036 12,602 13,194 13,815 85.5 폐자원 에너지화
관련 서비스34,826 36,463 38,177 39,971 41,850 43,816 10.9 재생용 가공원료,
재활용 제품제조139,727 146,294 153,170 160,369 167,906 175,798 2.8 합계 195,451 204,637 214,255 224,325 234,868 245,907 9.4% * 출처 : 환경산업통계조사보고서, 환경부(2015,2016) 기준 '13∼'15 성장률 일부 고려한 4.7% 가정하여 시장전망 예측
[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설비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억 원, %)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설비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16~'21) 국내시장 204,637 214,255 224,325 234,868 245,907 269,022 9.4 * 출처 : 환경산업통계조사보고서, 환경부(2015,2016) 기준 '13∼'15 성장률 일부 고려한 4.7% 가정하여 시장전망 예측
-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설비 관련업체는 총 7,661개로 재생용 가공원료 및 재활용 제품제조 업체가 43%를 차지. 폐자원 에너지화 관련 업체는 4,357개로 이중에서 서비스 관련 업체가 약 60%이며 전체적인 사업 규모는 중견·중소기업 수준
[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산업 현황 (2015년) ]
(단위 : 억 원, %)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산업 현황 (2015년) 구분 사업체수 총매출액 환경부분 매출액 환경매출액 비율 업체당 환경매출액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설비폐자원 에너지화
기기 제조1,040 4,068,539 991,828 24.4% 954 폐자원 에너지화
관련시설 건설766 15,019,821 1,097,978 7.3% 1,433 폐자원 에너지화
관련 서비스2,551 19,736,832 3,482,611 17.6% 1,365 재생용 가공원료,
재활용 제품제조3,304 71,475,276 13,972,711 19.5% 4,229 합계 7,661 110,300,468 19,545,128 17.7% 2,551 자료: 환경산업통계조사보고서, 환경부 (2016) 인용 재작성
-
재활용의 원료가 되는 폐기물 발생량은 경제발전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폐기물의 성질과 상태가 종류별 및 배출처 별로 상이하여 재활용 산업 안에는 작고 다양한 시장들이 존재
4.기술분석
- 가. 기술환경 분석
-
산업통상자원부 「제4차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은 ‘35년 1차 에너지중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을 11%, 전체 전력량의 13.4% 이상 공급하는 목표에서 최근 수립중인「제8차 전략수급계획」은 ’30년까지 총발전량의 20%(현재 6.6%)로 확대 계획
-
환경부는 ‘09년 저탄소 에너지생산․보급을 위한 「폐자원 및 바이어매스 에너지 대책」을 수립,「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대책 실행계획」에서 폐자원의 고형연료화, 바이오가스화 등 각종 에너지화 시설 적극적 확충 계획
-
환경부의 ‘18년 「자원순환기본법」시행으로 재활용 가능 폐기물의 직매립 금지 및 재활용시장을 활성화시키면 재활용량이 연간 1,000만톤 증가하고 재활용시장은 1조 7천억 원으로 확대 전망
[ 자원순환기본법 시행에 의한 폐기물 재활용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자료: 보도자료, 자원부국으로 가는 길...자원순환기본법 제정·공포, 환경부, 2016
-
정부에서는 폐기물 발생 억제와 재활용 증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재활용 비중이 97.9%에 달하는 건설폐기물 발생 규모가 당분간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어 재활용 비중은 최소한 현재의 높은 비중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40)
5. 핵심요소기술 선정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에 적합한 핵심요소기술 선정
[ 재활용 폐기물 분리 및 재사용 설비 분야 핵심요소기술 선정 ]
분류 | 요소기술 |
---|---|
연료 및 제조 | 고함수 폐기물의 연료화 기술 |
유기성 폐기물의 발전용 고품위 고형연료화 기술 | |
폐바이오매스 열분해 기술개발 | |
발전 및 이용 | 수냉각 화격자 적용에 의한 폐기물 소각 보일러 고효율화 기술 |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분산형 열병합 발전기술 | |
폐기물 고형연료 혼소에 의한 발전기술 개발 | |
폐기물 고형연료 혼소에 의한 발전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