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조회결과
로드맵 분류표 보기에너지
통합보고서 다운로드대기오염 물질처리 소재 및 공정
* 발행 년도 : 2017년1. 기술로드맵
2. 개요
- 가. 정의 및 범위
- 나. 주요 제품
-
[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기술개발 테마 제품분류 관점 세부기술 대기오염
물질처리
소재 및
공정공정기술 SOx
제어기술NOx
제어기술VOC
제어기술입자상물질
제어기술악취
제어기술소재기술 흡착재 촉매 동력기 기타 [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기술개발 테마 공급망 관점 세부기술 대기오염
물질처리
소재 및
공정기술화력발전소 화학공장 시멘트 자동차 및 조선 환경설비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 가. 세계시장
-
세계 대기오염 방지설비의 시장 규모는 2016년 67,420백만 달러에서 2021년에는 86.883백만 달러로 매년 5.2%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대기오염 방지설비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대기오염 방지설비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16~'21) 세계시장 67,420 70,921 74,607 78,489 82,577 86,883 5.2 * 출처 : BCC Research(2015), Air Pollution Control Equipment: Technologies and Global Markets '12-'14년 성장률을 이용하여 계산
-
대기오염방지 설비의 종류별 세계 시장 규모는 배가스 탈황설비, 탈질설비, 집진용 전기집진기와 백필터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음.
[ 대기오염 물질방지 설비 종류별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대기오염 물질방지 설비 종류별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CAGR 대기 오염
방지 설비탈황설비 18,613 19,562 20,560 21,608 22,710 23,868 5.1 전기집진기 13,769 14,443 15,151 15,893 16,672 17,489 4.9 탈질설비 14,168 15,060 16,009 17,018 18,090 19,230 6.3 백필터 12,957 13,644 14,367 15,128 15,930 16,774 5.3 스크러버 4,619 4,817 5,024 5,240 5,466 5,701 4.3 기타 3,295 3,394 3,496 3,601 3,709 3,820 3.0 합계 67,420 70,921 74,607 78,489 82,577 86,883 5.2 * 출처 : BCC Research(2015), Air Pollution Control Equipment: Technologies and Global Markets
-
배연탈황(FGD) 설비의 세계 시장규모는 2016년 18,613백만 달러에서 2021년 23,868백만 달러로 연평균 5.1%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전기집진기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6년 13,769백만 달러에서 2021년 17,489백만 달러로 연평균 4.9% 증가할 것으로 전망.
-
배연탈질(DeNOx) 설비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6년 14,168백만 달러에서 2021년 19,230백만 달러로 연평균 6.3%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패브릭 백필터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6년 12,957백만 달러에서 2021년 16,774백만 달러로 연평균 5.3%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스크러버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6년 4,619백만 달러에서 2021년 5,701백만 달러로 연평균 4.3% 정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나. 국내시장
-
‘16년 기준 대기관리 산업 분야의 국내 시장 규모는 ’16년 62,253억 원에서 ‘21 79,831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대기관리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억 원, %)
대기관리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국내시장 62,253 65,428 68,765 72,272 75,957 79,831 5.1 * 출처 : 2015 기준 환경산업통계조사보고서, 환경부, 2017 *‘12-;15 성장률을 이용하여 자료 재구성
-
국내 대기관리산업 분야의 매출액은 2015년 기준 5조 9,232억 원으로 전년 대비 4.2% 감소. 주요산업인 통제기기 제조 산업은 매출액이 증가하였으나 서비스 계통은 크게 감소함
자료: 2015년 기준 환경산업통계조사 보고서, 환경부, 2017
-
국내 대기산업 분야의 시장은 대기오염 물질을 통제하는 설비의 제조 및 건설 산업이 전체 시장의 89%인 약 5조 원으로 매우 큼. 최근까지 5% 이상의 성장률로 성장하여 왔으며 향후에도 국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됨
-
국내 대기 산업체는 9%의 중견·대기업이 78%의 매출을 점유하고, 중소기업의 비중은 91%에 달하지만 업체당 평균 매출액이 30억 원에 불과하여 전반적으로 영세한 수준
[ 국내 대기 산업체 종류별 규모 및 사업현황 ]
(단위: 백억원)
국내 대기 산업체 종류별 규모 및 사업현황 구분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업체수
(비중)매출액
(비중)업체수
(비중)매출액
(비중)업체수
(비중)매출액
(비중)환경산업 51
(0.6%)760
(22.4%)310
(3.57%)1,234
(36.3%)8,312
(95.8%)1,402
(41.3%)기후/대기산업 2
(0.8%)18.6
(6.6%)20
(8.1%)201
(71.3%)225
(91.1%)62
(22.1%)* 출처 : 국내·외 대기산업 현황과 전망, 환경산업기술원, 2014
4.기술분석
- 가. 기술환경 분석
-
정부는 대기오염 방지기술의 발전을 고려하여 「대기환경보존법」에 근거한 대기배출 허용기준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음.
[ 국내 석탄발전소 배출허용기준 적용현황 ]
국내 석탄발전소 배출허용기준 적용현황 구분 먼지(mg/Sm3) 황산화물(ppm) 질소산화물(ppm) ‘96 이전 설치시설 25 100 140 ‘96∼‘01 설치시설 25 80 70 ‘01∼‘15 설치시설 20 80 70 ‘15 이후 설치시설 10 50 50 -
국내 수도권 대기오염도는 선진국 주요 도시의 2∼4배 높은 수준으로 수도권 대기질 개선을 위해 환경부는 2003년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을 공포하고 2007년부터 수도권에 소재한 주요 사업장에 대하여 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 먼지의 배출허용총량제도 실시
-
미세먼지에 노출에 의한 국민 건강 문제가 이슈화된 후 정부는 2017년 9월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하여 2022년까지 국내 배출량의 30% 감축 목표
[ 국내 미세먼지 부문별 감축률 및 감축량 계획 ]
자료: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 관계부처 합동, 2017.09.26
-
정부는 대기질 개선을 위해 특별대책지역 지정, 먼지 총량제 도입, 질소산화물 대기배출 부과금 시행 등의 여러 가지 대책방안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법령 제정, 시행령 개정작업 진행 중
[ 국내 발전부문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 감축 전망 (만톤) ]
국내 발전부문 미세먼지 및 오염물질 감축 전망 (만톤) 시기 ‘17년 ‘22년 ‘30년 7차 계획 8차 계획 7차 계획 8차 계획 미세먼지
(PM 2.5)3.4 3.2 (6% ↓) 1.9 (44%↓) 3.0 (12%↓) 1.3 (62%↓) 오염물질 17.4 17.5 (0.6%↑) 9.4 (46%↓) 16.2 (7%↓) 6.5 (62%↓) *자료 :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 산업통상자원부, 2017.12.14
5. 핵심요소기술 선정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에 적합한 핵심요소기술 선정
[ 대기오염 물질처리 소재 및 공정 핵심요소기술 선정 ]
분류 | 핵심요소기술 | 키워드 |
---|---|---|
대기오염 물질측정 및 관리·평가 기술 |
공기포집 대기오염 물질측정 기술 개발 |
공기 포집장치를 이용하여 대기중 오염물질을 수집하고 포집된 공기를 분석하여 다양한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기술 |
ICT기반 대기오염 물질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 개발 |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을 적용하여 대기오염의 예보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예측 시간을 단축하는 기술 | |
대기처리 공정모사 및 환경영향평가 기술 개발 |
대기오염 물질처리 환경영향평가 | |
대기오염 물질처리 소재 및 공정 기술 |
생활환경 밀착형 유해가스 처리 소재 및 공정 개발 |
생활 환경 중에 존재하는 유해가스를 제거 및 처리하는 소재 및 공정기술 |
미세먼지 처리 소재 및 공정 개발 |
대도시, 육상 중심의 기존 관측망을 상공과 해상을 포함하는 실시간 업체 네트워크 관측망으로 확대하여 실시간으로 농도 및 성분을 측정하고 예측하여 정밀 예보하는 기술 | |
에너지 저소비형 고효율 스크러버 개발 |
입자상, 가스상 오염물질 뿐만 아니라 악취, 증기, 미스트 등의 복합적인 배가스 처리에 적합한 세정기술로 오염물질 제거 효율과 소요되는 에너지량을 최소화하는 처리 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