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조회결과
로드맵 분류표 보기디지털콘텐츠·디자인
통합보고서 다운로드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
* 발행 년도 : 2017년1. 기술로드맵
2. 개요
- 가. 정의 및 범위
- 나. 주요 제품
-
[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
주요제품 분류표 기술개발 테마 제품분류 관점 세부기술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 디자인 공간 디자인 경향 (1인용, 다기능 가구 등) 복합기능·편리 성 관련 디자인 기술 형태미/기능성 관련 디자인 기술 감성 관련 디자인 기술 신소재 개발 기술 통합 디자인 지식 서비스 소비자 모델링 기술 사용정보기반 PSS(Product Service Systems) 디자인 기술 가변형 조립식 가구 시스템 가변형 가구시스템 기술 변형전용 시스템 기술 조립체결장치 기술 정량적 시스템 조건설정 기술 가변형 조립 가구 기초 디자인 가구 기초 부재설계 기술 조립체결의 최적화 요소개발 기술 [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
주요제품 분류표 기술개발 테마 공급망 관점 세부기술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 스마트슈머 대응형 공간시스템 부품조합형 공간시스템 사용자 주도형 공간시스템 디지털 제조 공간시스템 모듈단위 공간시스템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 가. 세계시장
-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과 유사기술의 해외 시장 추정
-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은 유럽, 미국 등 선진가구시장을 중심으로 유통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는 보편화되지 못한 만큼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 관련만을 분류한 시장자료는 전무함. 따라서 플렉시블 공간가구시스템이 분류되는 RTA(Ready to assemble) 가구로 시장 규모를 산정
-
세계가구시장 내 플렉시블 공간디자인시스템(RTA) 시장규모 산정
[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 분야의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세계시장 43,000 45,000 47,000 49,162 51,423 53,788 4.6 * 출처 : CSIL, International Trade Statics의 연도별 가구 세계시장규모의 8.2% 적용하여 추산
-
플렉시블 공간 가구시스템의 적용 선호분야
[ 유럽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 가구(RTA) ]
(단위 : %)
유럽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 가구(RTA) 순위 주거공간 선호도 사무공간 선호도 1 Living entertain furniture 42 Workstations 31 2 Bedroom furniture 18 Desks 21 3 Bookcases / Wall unit 14 Filling / Storage 18 4 Storage unit 12 Credenzas / Hutches 15 5 Tables 7 Bookcases 12 6 Other 7 Other 3 * 출처 : A market analysis of the ready-to-assemble furniture industry, Richard P. Vlosky, 2001.
- 나. 국내시장
-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의 보도에 따르면, 국내 가구 내수시장은 ’15년 약 13조 6,000억 원 규모에서 ’20년 약 18조 1,0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국내는 현재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 관련 통계와 시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아, 세계 가구생산시장 내 RTA가구 점유율을 구한 산식과 마찬가지로 전체 가구 내수시장 통해 추정함
[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억 원, %)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국내시장 12,000 12,000 13,000 13,741 14,524 15,352 5.7 * 출처 : 산업통산자원부 무역위원회, 2016년 가구산업 경쟁력 조사 (연도별 국내시장규모의 8.2% 적용)
-
국내는 현재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 분야의 대표기업이라 할 만한 제조사는 없으나 해외의 가구가 꾸준히 소개되고 있어 플렉시블 공간가구에 대한 인식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유럽 플렉시블 가구의 대표 고급 브랜드인 USM이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등 향후 블루칩 가구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
4.기술분석
- 가. 기술환경 분석
-
IOT 대응모듈 개발. IT기반의 플랫폼과 기술제품만의 유니버셜(Universal) 제작표준기술을 이용한 3D 프린터, CNC등 다양한 분권생산이 가능한 디지털제조 디자인창업 생태계 조성
-
글로벌 시장진출에 적합한 아이템 및 수출에 적합한 모듈단위의 상품으로의 패키징
5. 핵심요소기술 선정
[ 플렉시블 시스템 및 공간디자인의 핵심요소기술 ]
분류 | 핵심요소기술 | 키워드 |
---|---|---|
모듈화 유닛 개발 | 모듈 구성재의 경량화 및 고강도 소재 개발 | 초 경량화 구조 구현, 고강도 구조 구현 |
DIY 제작을 위한 간결한 유닛 체결 기술 | 체결 장치 | |
공간 구성을 위한 Software 개발 |
Software 구현을 위한 빅 데이터 수집 기술 | 데이터 분석 |
사용자 생활 환경의 3D 공간 구현 기술 | 증강 데이터 실 공간 구현 | |
IOT, ICT 기술 접목을 위한 플랫폼 개발 |
IOT, ICT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원 공급 기술 | 전원 공급 성공 |
IOT, ICT 환경 조성을 위한 컨트롤러 기술 개발 | 컨트롤러 제어 성공 | |
사용성 확장을 위한 Digital - Fabrication 환경 조성 | 3D 프린터 활용을 위한 오픈소스 생성 기술 | 3D 프린터 오픈소스 호환 |
사용성 확장을 위한 디지털 네트워크 구축 기술 |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