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조회결과
로드맵 분류표 보기웨어러블
통합보고서 다운로드스마트패치
* 발행 년도 : 2017년1. 기술로드맵
2. 개요
- 가. 정의 및 범위
- 나. 주요 제품
-
[ 제품분류 관점 기술범위 ]
주요제품 분류표 기술개발테마 제품분류 관점 세부기술 스마트패치 유닛 디바이스 전원부 논리부 센서부 무선 연결부 actuator 전극 기판 패키징 [ 공급망 관점 기술범위 ]
주요제품 분류표 기술개발테마 공급망 관점 세부기술 스마트 시계·밴드 건강, 의료용 패치 운동, 레저용 패치 게임용 패치 생활 약자용 패치
3.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 (1) 세계시장
-
스마트패치의 총 출하량은 2022년까지 매년 3,510만 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단위: 백만달러,%)
의료 반도체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세계시장 6,200 7,200 7,400 8,200 9,200 10,300 10.7 * 자료 : IC Insight, Medical semiconductor market forecast, 2015.3
- (2) 국내시장
-
스마트패치의 제품 관련 국내 시장은 통계로 잡혀있지 않고, 관련된 응용 시장의 규모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음
(단위: 억원,%)
실시간 건강관리 관련 국내시장 규모 및 전망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국내시장 1,251 1,492 1,780 2,124 2,533 3,022 19.3 * 자료 : Technavio(2015), Global Digital Health Market 2015-2019, TDB 재구성(2016), 헬스케어IT 솔루션
4.기술분석
- (1) 기술개발트렌드
-
연구 개발 동향
기존 웨어러블 제품의 한계점을 돌파하기 위한 시도
기존의 기술을 이용해 제품을 개발하려는 시도
- (2) 기술환경 분석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착용형 스마트기기 국제표준화 진행 (‘17, IEC/TC 124)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년부터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핵심 부품 및 요소기술 개발사업’을 공동 추진하며, (산업부) 웨어러블 기기 소재·부품 기술개발, (과기정통부) 플랫폼 기술개발 및 상용화 지원(산업부-과기정통부 공동, 5년간('16∼'20) 총 1,272억 원 투자) 중
5.핵심요소기술 선정
확정된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에 적합한 핵심요소기술 선정
[ 스마트 시계·밴드 핵심요소기술 선정 ]
분류 | 개요 |
---|---|
소재 | Patch용 전극 |
Patch용 기판 | |
유닛 디바이스 | Epidermal 센서 |
저전압 무선 기술 | |
Wearable MCU | |
박막형 배터리 | |
데이터 처리 | 빅데이터 처리 기술 개발 |
패키징 | 생체 안정성 및 디바이스 보호용 패키징 기술 |